git stash 명령어 사용하기

2022. 7. 3. 13:22·개발도구/Git

git stash 란?

 

 

 

자신이 어떤 작업을 하던 중에 다른 요청이 들어와 하던 작업을 멈추고 잠시 브랜치를 변경해야 할 일이 있다고 하자. 이때, 아직 완료하지 않은 일을 commit하는 것은 껄끄럽다. 이때와 같을때 git stash 명령어를 이용하여 작업을 잠시 저장할 수 있다. 

 

git stash는 아직 마무리하지 않은 작업을 스택에 잠시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명령어로서 이를 통해 아직 완료하지 않은 일을 commit하지 않고 나중에 다시 꺼내와 마무리할 수 있다.

 

  • git stash 명령을 사용하면 working directory 에서 수정한 파일들만 저장한다.
  • stash란 아래에 해당하는 파일들을 보관해두는 장소 이다.

 

 

 

1. 하던 작업 임시로 저장하기

 

git stash

 

위의 명령어를 통해 새로운 stash를 스택에 만들어 하던 작업을 임시로 저장한다.

git stash 나 git stash save 를 실행하면 스택에 새로운 stash가 만들어진다. 이 과정을 통해 working directory 는 깨끗해진다.

 

$ git stash
$ git stash save

 

 

2. stash 목록 확인하기

 

git stash list

 

여러 번 stash를 했다면 위의 명령어를 통해 저장한 stash 목록을 확인할 수 있다.

 

$ git stash list
stash@{0}: WIP on master: 049d078 added the index file
stash@{1}: WIP on master: c264051 Revert "added file_size"
stash@{2}: WIP on master: 21d80a5 added number to log

 

 

3. stash 적용하기(했던 작업을 다시 가져오기)

 

git stash apply

 

위의 명령어를 통해 했던 작업을 다시 가져온다. 

 

// 가장 최근의 stash를 가져와 적용한다.
$ git stash apply

// stash 이름(ex. stash@{2})에 해당하는 stash를 적용한다.
$ git stash apply [stash 이름]

 

 

4. stash제거하기

 

git stash drop

apply 옵션은 단순히 stash를 적용하는 것으로, 해당 stash는 스택에 여전히 남아있다. 스택에 남아 있는 stash는 위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. 

 

// 가장 최근의 stash를 제거한다.
$ git stash drop

// stash 이름(ex. stash@{2})에 해당하는 stash를 제거한다.
$ git stash drop [stash 이름]

 

 

  • 만약 적용과 동시에 스택에서 해당 stash를 제거하고 싶으면 git stash pop 명령을 사용하면 된다.
// apply + drop의 형태
$ git stash pop

 

 

5. stash 되돌리기


git stash show -p | git apply -R
실수로 잘못 stash 적용한 것을 되돌리고 싶으면 위의 명령어를 이용한다.

 

// 가장 최근의 stash를 사용하여 패치를 만들고 그것을 거꾸로 적용한다.
$ git stash show -p | git apply -R

// stash 이름(ex. stash@{2})에 해당하는 stash를 이용하여 거꾸로 적용한다.
$ git stash show -p [stash 이름] | git apply -R

 

 

TIP alias로 편리하게 사용하자.
stash-unapply라는 명령어를 등록하여 간단하게 사용할 수 있다.

 

$ git config --global alias.stash-unapply '!git stash show -p | git apply -R'
$ git stash apply
$ #... work work work

// alias로 등록한 stash 되돌리기 명령어
$ git stash-unapply

 

'개발도구 > 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git cherry-pick (원하는 commit 가져오기)  (0) 2022.07.31
git remote branch 가져오기  (0) 2022.07.31
git remote add (원격저장소 추가)  (0) 2022.07.31
git branch -d (브랜치 삭제하기)  (0) 2022.07.03
강제 (force) push 수행하기  (0) 2022.07.03
'개발도구/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• git remote branch 가져오기
  • git remote add (원격저장소 추가)
  • git branch -d (브랜치 삭제하기)
  • 강제 (force) push 수행하기
횰쓰
횰쓰
개발 성장 블로그입니다
  • 횰쓰
    횰쓰토리
    횰쓰
  • 전체
    오늘
    어제
    • 분류 전체보기
      • CS 공부
        • 운영체제
        • 네트워크
        • 컴퓨터구조
        • 데이터베이스
        • 알고리즘
        • 소프트웨어공학
        • 자료구조
        • 웹
      • 프로그래밍
        • Python
        • NodeJS
      • 프로젝트
        • React 프로젝트
      • 개발도구
        • Git
  • 블로그 메뉴

    • 홈
    • 태그
    • 방명록
  • 링크

  • 공지사항

  • 인기 글

  • 태그

    SQL/NOSQL
  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
    AVL트리
    Sync/Async
    Push-force
    큐
    멀티 스레드
    chrome
    최태성인강
    자가균형 이진탐색트리
    Min힙
    Max힙
    4 way handshake
    이진탐색트리
    리스트정렬여부
    전이진트리
    카드뭉치
    tcp
    멀티 프로세스
    Git
    경쟁상태(Race Condition)
    프로세스 주소공간
    둘만의 암호
    RB트리
    운영체제
    스택
    RB Tree
    포화이진트리
    3 Way Handshake
    페이지 교체
  • 최근 댓글

  • 최근 글

  • hELLO· Designed By정상우.v4.10.3
횰쓰
git stash 명령어 사용하기
상단으로

티스토리툴바